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선 시대 ‘금기어’와 사라진 전통 언어

by 모멘트컴퍼니 2025. 3. 15.
반응형

 

 조선 시대에는 함부로 말할 수 없는 단어들이 있었습니다. 이를 **금기어(禁忌語)**라고 불렀으며, 왕실에서든 민간에서든 특정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거나 조심해야 했습니다. 또한 시대의 변화와 함께 사라진 한국의 전통 언어들도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 시대의 금기어와 사라진 전통 표현**을 살펴보겠습니다.

1. 조선 시대의 금기어란?

금기어란 특정한 사회적 이유로 인해 사용을 피해야 했던 단어들을 의미합니다. 조선 시대에는 신분제 사회였기 때문에 신분에 따라 말할 수 있는 단어와 말할 수 없는 단어가 분명히 구분되었습니다.

1) 왕과 관련된 금기어

왕과 관련된 단어는 쉽게 말할 수 없었으며, 특히 왕의 이름(휘, 諱)은 함부로 부를 수 없었습니다.

  • 왕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음: 왕의 이름이 글자에 포함된 경우, 다른 단어로 바꿔 사용
  • ‘임금’이라는 단어 대신 ‘전하’ 사용: 일반 백성이 임금을 부를 때는 ‘전하’라고 해야 했음
  • 왕실 관련 단어 변경: 예를 들어, 세종대왕(世宗大王)의 이름인 ‘이도(李祹)’에서 ‘도(祹)’를 피하기 위해 다른 한자를 사용함

2) 신하와 백성이 사용하지 못한 단어

왕을 직접 언급하는 것은 피해야 했으며, 특히 반역을 연상시키는 단어도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 ‘반역’과 관련된 단어 금지: ‘반란’, ‘역적’ 등의 단어 사용을 조심해야 했음
  • 왕실 관련 사건 언급 금지: 왕의 죽음이나 정치적 사건은 함부로 말할 수 없었음

2. 조선 시대의 일상생활 속 금기어

1) 가족 간의 금기어

조선 시대에는 효를 중시했기 때문에 부모나 조상과 관련된 단어도 조심해야 했습니다.

  • 부모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음: 효의 개념이 강했기 때문에, 부모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무례한 행동으로 여겨짐
  • ‘죽다’라는 단어 사용 금지: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는 표현을 완곡하게 하기 위해 ‘돌아가셨다’ 또는 ‘승하하셨다’라는 표현 사용

2) 여성과 관련된 금기어

조선 시대는 유교적 가치관이 강했기 때문에 여성과 관련된 단어도 제한되었습니다.

  • 여성을 직접 지칭하는 단어 조심: 양반가 여성들은 자신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말하지 않았으며, 대신 ‘○○댁’이라는 호칭 사용
  • ‘임신’ 대신 ‘몸이 불편하다’라는 표현 사용: 임신이라는 단어가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금기시됨

3. 사라진 조선 시대의 전통 언어와 표현

1) 사라진 존칭어

과거에는 신분에 따라 다양한 존칭어가 존재했지만, 현대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상전(上典): 주인을 부르는 말
  • 대감(大監):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을 지칭
  • 영감(令監): 조선 시대에는 고위 관리에게만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어르신을 부르는 말로 변함

2) 사라진 감탄사

조선 시대에는 현대와 다른 감탄사나 의성어가 사용되었습니다.

  • ‘아이고’ 대신 ‘아희’: 슬플 때 쓰던 표현
  • ‘정말?’ 대신 ‘그러하오?’: 의문을 나타내는 표현

3) 사라진 순우리말

조선 시대에는 지금보다 더 많은 순우리말이 사용되었지만, 점차 한자어와 외래어에 밀려 사라졌습니다.

  • ‘해태하다’: 게으름을 피운다는 뜻
  • ‘늘비하다’: 길게 줄지어 있다는 뜻
  • ‘어리다’: 조선 시대에는 ‘눈물이 고이다’라는 뜻이었음 (현재는 ‘어리석다’로 의미 변형)

4. 현대에도 남아 있는 조선 시대 언어

조선 시대의 언어 중 일부는 현대에도 남아 있습니다.

1) ‘마님’이라는 표현

조선 시대 양반가의 부인을 부르던 ‘마님’이라는 표현은 지금도 종종 사용됩니다.

2) ‘영감님’이라는 표현

원래는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을 부르는 말이었지만, 현재는 나이 많은 남성을 부르는 말로 변형되었습니다.

결론

조선 시대에는 신분, 예절, 종교적 이유 등으로 인해 특정 단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또한 시대가 변하면서 많은 단어들이 사라지고, 일부 표현은 현대에 맞게 변화되었습니다.

금기어와 사라진 전통 언어를 살펴보면, 조선 시대 사람들의 가치관과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전통 언어들이 단순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맞게 재해석되어 사용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